반응형
1. 디버깅이란?
- 코드 내에서 버그(에러)를 찾아내기 위한 테스트 과정
2. 디버깅 관련 단축키 (window/mac)
기능 | Window 단축키 | Mac 단축키 |
---|---|---|
디버깅 시작 (첫번째 break point에서 시작) |
Shift + F9 | Control(⌃) + D |
디버깅 종료 | Ctrl + F2 | Command(⌘) + F2 |
다음 break point로 이동 | F9 | F9 |
다음 line으로 이동 (Step Over) |
F8 | F8 |
현재 line에 있는 내부함수로 이동 (Step Into) |
F7 | F7 |
Step Into 하기 전으로 빠져나오기 (Step Out) |
Shift + F8 | Shift + F8 |
3. break point 설정 방법
- 아래 코드에서 4번째 줄에 break point를 설정하고 싶다면 좌측의 line number 4 옆을 클릭하면 break point 설정/해제 가능
- break point가 설정된 모습
4. 디버깅 실습
- 아래의 코드에서 디버깅 실행 (mac : Control + D, window : Shift + F9)
- 현재 가르키고 있는 line은 아래와 같이 표시됨
- 현재 변수들이 가지고 있는 값은 아래에서 확인
- 다음 라인으로 이동(F8)하면 12번째 줄을 실행하고 한 줄 내려가기 때문에 sum 변수가 선언됨을 확인할 수 있음
- 다음 라인으로 이동을 계속하면 fact 메서드에 진입하지는 않지만, 아래와 같이 결과값은 계속 갱신됨
- 만약 i가 4일때, fact 메서드로 진입해서 확인하고 싶다면, F7 키를 통해 내부 함수에 진입
- fact 메서드에 진입함, main 메서드에 생성되었던 arr, sum, i는 사라지고 파라미터 x만 남음
- 마지막으로 F9를 누르면, 다음 break point로 이동함
반응형
'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기타] Port Kill (window/mac) (0) | 2022.06.20 |
---|---|
[HTML] CSS 사용 예제 ( + Bootstrap ) (0) | 2022.06.19 |
[Tistory] 티스토리 글 작성 시 스크롤 이동 및 링크 이동 (0) | 2022.04.15 |
[Postman] Postman 사용법 (0) | 2021.12.01 |
[Eclipse] 폰트 변경 및 사이즈 변경방법, 단축키 (2) | 2021.08.12 |